Case1. 스스로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취업이 망설여질 때
- 사기업이 적합할지 vs. 공기업에 지원할지, 남들이 생각하는 나는 취업에 어울리는 사람인지, 복수전공을 해야 하는지, 대학원을 가야 취업이 잘 될지, 취업 외에 다른 방향성으로의 가능성은 없는지. 나에 대한 이해도 부족으로 아직 취업의 ‘ㅊ’도 준비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상황이라면, 다양한 자기분석 방법을 활용해 심층적으로 나를 이해하고, 나에게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는 진로 방향성을 잡도록 조력합니다.
Case2. 산업군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진출 방향이 고민일 때
- 단기적인 채용규모에서부터 연봉, 복지, 워라밸, 장기적인 커리어 비전까지, 얼마나 비전 있는 산업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인이 쌓아온 이력과 관심사, 직업적 가치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비전 있고 자아실현이 가능한 최적의 산업군을 선별합니다.
Case3. 내가 어떤 직무에 적합한지 혼란이 올 때
- 본인의 직업선호도, 정량 및 정성적인 이력사항, 성향, 직무이해도, 산업에 따른 직무의 특수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만큼 직무 선정은 당연히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심층 인터뷰, 스펙 분석, 객관적 검사지표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후회 없는 직무 선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Case4. 희망 직무에서의 1승을 위한 앞으로의 자기계발 로드맵이 필요할 때
- 관심과 선호도가 높은 직무는 있지만, 이 직무를 위해 겉핥기 식의 인터넷, 서적, 유튜브 정보로는 어떤 지식과 경험, 태도를 쌓아야 하는지가 혼란스럽습니다. 이에 대해 기존의 경험을 분석하고, 직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도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취업 준비까지 우선순위에 따른 최적의 자기계발 로드맵을 커스터마이징 합니다.
Case5. 다양한 경험들로 인해 어떤 것을 선택과 집중해야 하는지 어려울 때
- 열정적인 학창시절 너무나도 다양한 경험들이 막상 취업을 준비하려고 하니 발목을 잡습니다. 어떤 경험들이 차별화 포인트가 될지, 어떤 경험들이 이력서나 자기소개서에 들어갈 때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지 감이 오지 않을 때 명쾌하게 직무에 필요한 이력만을 정리하여 직무 적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컨설팅합니다.